일제가 남획으로 씨가 말라버린 ‘큰바다 사자’ 100년만에 한국에서 발견되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 의해 남획당한 멸종위기종인 ‘큰바다사자’가 전남 신안군 가거도에서 100여 년만에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신안군 제공 이하 동일

이 개체는 멸종위 2급에 속하며, 최서남단 신안 가거도의 녹섬 갯바위에서 휴식하고 있었던 모습이 주민에 의해 관찰되었습니다.

큰바다사자는 과거 1920년대에 신안 가거도 부속섬인 구굴도와 개린도에서 120여 개체가 서식하고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 의해 남획되어 이후로는 사라진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따라서 이번 관찰은 약 100년 만에 확인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큰바다사자는 시베리아 연안, 캄차카 반도, 베링해 등 북부 태평양 바다에서 서식하는 바다사자의 일종으로, 수컷의 무게는 1톤을 넘는 큰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바다 속에서는 110∼130m까지 잠수하며, 시속 25∼30㎞로 헤엄쳐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명태, 꽁치 등의 어류, 그리고 새우, 조개, 소라 등을 먹이로 삼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는 큰바다사자의 집단 서식지는 없지만 동해안과 울릉도, 독도 주변 해역, 제주도 등에서 아주 드물게 관찰되고 있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신안군에서는 가거도 해역이 ‘해양생태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고 어족자원이 풍부한 청정지역이라고 언급하며, 큰바다사자의 서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정밀 모니터링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댓글 달기